1980s/198679 On My Own - Patti LaBelle & Michael McDonald / 1986 On My Own은 R&B 보컬그룹 라벨(LaBelle) 출신의 패티 라벨(Patti LaBelle)과 두비 브라더즈(Doobie Brothers) 출신의 마이클 맥도날드(Michael McDonald)가 함께 한 듀엣 곡으로 패티가 1986년 발표한 8번째 스튜디오 앨범 에 수록했다. 미국과 캐나다 1위, 영국 2위, 미국 연말결산 4위, 1980년대 결산 57위 등을 기록했다. 레바 맥킨타이어(Reba McEntire)가 1995년 커버했다. 버트 바카라크(Burt Bacharach)와 캐롤 베이어 새저(Carole Bayer Sager)가 만들었고 프로듀서도 맡았다. 디온 워익(Dionne Warwick)이 먼저 녹음했으나 자신의 앨범에 수록하진 않았다. 패티는 마이클이 합류하기 전에 미리 녹음을 .. 2018. 5. 30. C’es La Vie – Robbie Nevil / 1986 C'est La Vie는 미국 싱어 송 라이터 로비 네빌(Robbie Nevil)이 1986년 발표한 셀프타이틀 앨범에 수록한 곡으로 캐나다 1위, 미국과 아일랜드 2위, 영국 3위, 미국 연말결산 6위, 1980년대 결산 77위 등을 기록했다. 로비와 던컨 페인(Duncan Pain), 마크 홀딩(Mark Holding)이 만들었고 알렉스 새드킨(Alex Sadkin), 필립 토넬리(Philip Thornalley)가 프로듀서를, 이안 릿치(Ian Ritchie)가 색소폰을 맡았다. 뮤직 비디오는 피터 케어(Peter Care)가 감독을 맡았다. 원래 로비는 쿨 앤 더 갱(Kool & The Gang)을 마음에 두고 있었으나 가스펠 가수 뷰 윌리암스(Beau Williams)가 1984년 처음 발표했다.. 2018. 5. 26. Carrie – Europe / 1986 Carrie는 스웨덴 록 밴드 유럽(Europe)이 1986년 발표한 3번째 스튜디오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미국 3위, 캐나다 9위, 아일랜드 10위, 영국 22위 등을 기록했다. 2011년 백비트 선정 헤비메탈 발라드 26위에 올랐다. 보컬을 맡은 조이 템페스트(Joey Tempest)와 키보디스트 믹 미켈리(Mic Michaeli)가 만들고 케빈 엘슨(Kevin Elson)이 프로듀서를 맡았다. 데모 버전과 공연에서는 키보드와 보컬로만 연출했지만 앨범에 수록할 때는 밴드의 형태로 연주해 실었다. 뮤직비디오는 닉 모리스(Nick Morris)가 감독했다. 조이는 송팩츠와의 인터뷰에서 “항상 궁금했어요. 진짜 캐리가 있을지. 근데 없더라고요. 우린 그때 어려서 여자 친구와 헤어지고 새 여자를 만나는 게.. 2018. 5. 15. Shake You Down – Gregory Abbott / 1986 Shake You Down는 미국 작곡가 겸 프로듀서 그레고리 애버트(Gregory Abbott)가 1986년 발표한 앨범의 타이틀 트랙으로 미국 1위, 캐나다 2위, 아일랜드 5위, 영국 6위, 미국 연말결산 3위, 1980년대 결산 58위 등을 기록했다. 그레고리가 만들고 프로듀서를 맡았다. 그레고리는 아직까지도 해마다 곡을 발표하고 있지만 이 곡이 유일한 히트곡이다. 곡을 발표하기 전까지는 박사학위를 가진 대학교 영어 강사였다. 그레고리는 삼촌의 도움으로 프로덕션 회사를 알게 되었고 결국 CBS와 계약을 맺었다. Band Of Gold를 히트시킨 프레다 페인(Preda Payne)과 결혼생활을 한 적이 있다. 20180514 현지운 rainysunshine@tistory.com Girl, I’ve .. 2018. 5. 14. Nobody’s Fool – Cinderella / 1986 Nobody's Fool은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결성된 록 그룹 신데렐라(Cinderella)가 1986년 발표한 데뷔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미국 13위, 캐나다 35위에 올랐고 국내 록 팬들에게도 인기가 있었다. 백비트 선정 베스트 헤비메탈 발라드 17위를 차지했다. 리드 보컬을 맡고 있는 톰 키퍼(Tome Keifer)가 만들었고 앤디 존스(Andy Johns)가 프로듀서를 맡았다. 뮤직비디오 이야기는 이들의 첫 싱글은 Shake Me에 이어 샤를 페로( Charles Perrault)의 를 패러디 했다. 이들은 본 조비(Bon Jovi)의 주선으로 머큐리사와 계약을 맺었다. 이들의 공연을 본 존 본 조비(Jon Bon Jovi)는 단번에 이들의 성공을 예감해 머큐리를 설득했고 에서 2곡의 백업보컬을.. 2018. 4. 4. Spanish Heart – Gerald Joling / 1986 Spanish Heart은 제랄드 졸링(Gerard Joling)이 1986년 발표한 2번째 스튜디오 앨범 에 수록된 곡으로 국내에서 아주 많은 사랑을 받았다. 피터 드 밴(Peter de Wijn)이 만들고 프로듀서도 맡았다. 가사는 한 곳에 정착할 수 없는 방랑자, 보헤미안, 집시의 피를 가진 화자가 자신의 마음 혹은 상태를 표현했다. 제목을 Spanish Heart으로 지은 이유는 집시로 유명한 지방인 스페인 안달루시아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조르주 비제(Georges Bizet)가 오페라로 만든 프로스페르 메리메(Prosper Mérimée) 원작의 도 이 지역이 배경이다. 집시는 동유럽에 주로 거주하는 인도아리아계의 유랑민족을 일컫는 말이지만 서유럽의 많은 사람들에게는 집시하면 스페인을 떠올린다.. 2018. 3. 13. Touch By Touch – Joy / 1986 Touch By Touch는 조이(Joy)가 1986년 발표한 곡으로 오스트리아에서 1위에 올랐고 유럽에서 크게 인기를 모았다. 국내에서도 바로 좋은 반응을 얻어 이후 공연까지 할 수 있었다. 강형철 감독의 2011년 영화 , 신원호 연출의 tvN 드라마 , 장규성 감독의 2007년 영화 에서 차승원과 이현경이 춤출 때 등에 사용되었다. 팀의 멤버인 앤디 슈바이처(Andy Schweitzer)와 프레디 재클리쉬(Freddy Jaklitsch)가 만들었다. 사랑하는 사람과 하는 섹스에 대한 행복한 기분을 담은 것 같다. 20180228 현지운 rainysunshine@tistory.com When I feel the time is right and you're staying by my side 타이밍이 딱.. 2018. 2. 28. Since I Don’t Have You – Gloria Loring / 1986 Since I Don’t Have You는 글로리아 로링(Gloria Loring)이 1986년 발표한 셀프타이클 앨범에 수록된 곡이다. 곡은 재키 테일러(Jackie Taylor) 등 원곡을 부른 스카이라이너스(Skyliners) 멤버들이 만들었고 글로리아의 버전은 제리 라고보이(Jerry Ragovoy)가 프로듀서를 맡았다. 다시 들어보니 그 때의 그 인상 깊었던 청아한 매력이 느껴지진 않았지만 그래도 스카이라이너스나 건스 앤 로지스(Guns N’ Roses) 버전보단 나은 것 같다. 상황과 상관없이 들을 때마다 감정이입이 되는 곡이다. 20180129 현지운 rainysunshine@tistory.com I don't have plans and schemes and I don't have hopes.. 2018. 1. 29. Love Comes Quickly – Pet Shop Boys / 1986 Love Comes Quickly는 펫 샵 보이즈(Pet Shop Boys)가 1986년 발표한 데뷔 앨범 에 수록된 곡으로 아일랜드 13위, 영국 19위, 미국 62위, 캐나다 74위 등을 기록했다. 닐 테넌트(Neil Tennant), 크리스 로(Chris Lowe), 스티븐 해이그(Stephen Hague) 등이 만들었고 스티븐이 프로듀서를 맡았다. 록시 뮤직(Roxy Music)의 앤디 맥케이(Andy Mackay)가 색소폰을 연주했다. 뮤직비디오는 앤디 모라한(Andy Morahan), 에릭 왓슨(Eric Watson)이 감독을 맡았다. 닐은 싱글 커버의 모자 쓴 모습을 통해 자신들이 동성애자임을 알아차려주길 바랐다고 한다. 사랑의 불가항력적인 힘을 노래하는 것 같다. 사랑에 빠지는 건 예측할 .. 2018. 1. 8. 이전 1 ··· 4 5 6 7 8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