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음악사19

16세기 마드리갈(Madrigal) 16세기 마드리갈(Madrigal)은 목가적 서정시 마드리갈레를 가사로 해서 14세기 마드리갈과는 다른 음악을 만들어 낸다. 프로툴라(Frottola, 15C 말 ~ 16C 초, 이탈리아 북부에서 시작된 시와 음악 형식. 사랑에 관한 것이 많으며 음역이 좁고 되풀이 되는 특징이 있다)를 예술로 승화시킨 성악 형식의 음악이 된 것이다. 성악곡이라고는 하지만 자유롭고 개성을 강조하며 남녀간의 사랑을 주로 다룬 내용이라 종교적인 성악곡과는 달리 세속적인 성악곡이라고 부른다. 달리 말하면, 문학작가들과 작곡가들 사이에 교류가 증진되면서, 세속적인 가사와 다성 작곡 기법을 택한 플랑드르 악파가 만나 새로운 음악 형식을 만들어 낸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17C 전반까지 2000여 곡이 만들어졌다. 많은 수의 마드.. 2019. 4. 12.
일제강점기 음반시대 축음기와 음반의 등장으로 인류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개인의 취향에 따라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우리나라에 축음기와 음반이 들어온 것은 1880년경으로 추정된다. 1기 (1880 ~ 1910) 축음기의 도입과 함께, 미국의 음반 회사가 우리나라의 전통 음악을 녹음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사람의 육성이 처음 녹음된 것은 1896년이다. 당시 미국으로 이민을 간 우리나라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문화인류학적인 차원의 민속조사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음반이 전해오고 있지는 않지만 1899년 가 음반으로 최초로 제작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1907년 미국의 콜롬비아사가 1908년에는 미국의 빅터사가 우리나라 전통음악을 녹음해 판매했다. 2기 (1910 ~1925) 음반이 뿌리를 내린 시기로 미국 회사.. 2019. 3. 18.
1920 ~ 1930년대 가곡 1920 ~ 1930년대 가곡 우리나라에서 (서양음악 형식의) 가곡(歌曲)이란 장르는 1920년대에 들어 그 틀이 형성되었다. 초기의 곡들 중에는 단순하고 소박한 곡들이 많아 나중에는 동요로 분류된 가곡들도 적지 않다. 지은이의 감정 표현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내용적으로는 낭만적이고 정서적으로 서정적이다. 대부분 정형시의 가사에 동일한 선율이 반복하는 유절 가곡이며, 선율과 리듬 면에서 민요적인 요소를 취하고 있고 반주가 선율에 종속되어 있다. 홍난파 – 봉숭아(봉선화), 봄처녀, 사랑, 옛동산, 성불사, 장안사, 금강에 살으리랏다현제명 – 니나, 가을, 고향 생각, 오라, 나물 캐는 처녀, 조선의 노래안기영 – 그리운 강남, 마의 태자박태준 – 동무생각조두남 - 옛이야기 1930년대는 한국 가곡의 어법.. 2019. 3. 11.
창작동요의 시작 동요란 어린이들의 생활 감정이나 심리 상태 등을 표현한 노래로 외국의 경우는 민요의 범주에 속하지만 우리나라는 동요는 양악에 속한다. 전래동요와 창작동요가 있는데 창작동요의 역사는 1920년대부터 시작한다. 일제강점기 민간이 주도한 자생적 민족 문화 운동으로 볼 수 있다. 방정환(1899 ~ 1931)을 중심으로 한 색동회가 처음 시작했다. 색동회의 윤극영(1903 ~ 1988)은 반달을 발표해 동요로서는 최초의 국민 애창곡이 되었다. 때문에 반달 이전에 창작 동요가 있긴 하지만 반달을 한국 최초의 창작 동요로, 이 곡이 발표된 1924년을 창작동요의 원년으로 삼고 있다. 이 외에도 정인섭(1905 ~1983) 중심의 녹양회, 마해송(1905 ~1966) 중심의 두루미회, 유기홍 중심의 녹성동요회, 경성.. 2019. 3. 3.
창가독립사건 창가독립사건은 일제강점기인 1910년부터 1919년까지 있었던, 음악으로 일제강점기를 돌파하려했던 사건으로, 개성의 한영서원 선생님들인 신영순, 백남혁, 정사인 등이 주축이 되어 북간도의 민족학교에서 가져온 창가집들을 모아 새로운 창가집을 만들고 보급, 교육했던 운동이다. 이들은 1911년부터 1914년까지 창가를 수집하고 1915년 1차, 1916년 2차로 창가집을 발행해 방학동안 전국의 음악반 책임자, 음악선생님들을 교육하기 위해 만든 전국학생하령회에 1915년 90권, 1916년 99권을 보급했다. 영웅모범 같은 곡에 등장하는 “일본의 천왕을 종으로 삼고 일본의 황후를 하녀로 삼아 부리고 말리라”는 가사에서 알 수 있듯이 창가집의 내용은 대부분 반일, 배일적인 내용이었고 후에 발각돼 재판에 넘겨진 .. 2019. 1. 31.
일본 군가의 유입과 음악교육 독립군들이 군가로 차용한 멜로디는 기독교의 찬송가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일본 군가, 그 다음이 서양의 명곡들이다. 이런 예는 국내 대중음악사에서 서양 음악을 수용하던 초기에 일본의 군가가 얼마나 큰 역할을 했는지 알 수 있게 해준다. 청일전쟁(1894 ~ 1895), 러일전쟁(1904 ~1905)을 계기로 많은 일본의 군가들이 국내에 들어왔고 유행했다. 이 일본 군가는 기독교, 그 중 개신교의 찬송가에서 많이 발견되는 것은 물론이고 반일과 항일의 내용을 담은 노래에서도 다수 차용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이런 노래들의 근원을 모르는 상태에서 점점 국민 정서에 적합한 보편적인 노래들이 되기 시작던 것이 후세대들에게 문제가 되는 것 같다. 이로 인해 이런 노래들은 우리 근대 음악의 원형으로.. 2019. 1. 30.
애국가 운동 대한제국은 의전과 외교 행사를 위해 양악대를 만들고 1902년 8월 15일 대한제국 애국가를 공포했다. 고종은 의정대신 윤용선에게 국가의 제정을 명했고 이에 궁중의 학자들이 모여 작사를, 양악대의 지휘자인 프란쯔 에케르트(Franz Eckert, 1852 ~1916)가 작곡을 했다. 정부가 이 곡의 악보를 공식적으로 배포했음에도 현재는 가사와 선율이 조금씩 다른 악보 10여 종이 전해져 온다. 아마도 일제 통감부가 이 곡을 금지 시킨 후 전국 각지에서 저마다 조금씩 다른 방향으로 구전되어 온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 곡 외에도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걸쳐 여러 편의 애국가들이 만들어졌다. 초기에는 개화파 지식인들과 종교인들이 계몽운동의 차원에서 만들었다. 외국 곡의 멜로디를 사용해 가사만 붙인 .. 2019. 1. 29.
양악대 1897년 8월 12월부터 우리나라는 국호를 조선에서 대한제국으로 바꾸고 국왕의 지위를 황제로 격상시켰다. 정부는 의전 행사를 위한 국가적 차원에서 서양 음악을 수입할 필요성을 느끼고 1900년 12월 19일 신식 군대 내에 양악대를 창설했다. 지휘자로는 독일 출신으로 일본에서 양악대를 육성한 경험이 있는 프로이센의 육군 군악대장 프란쯔 에케르트(Franz Eckert, 1852 ~1916)를 초빙했다. 프란쯔의 양악대는 1901년 9월 9일 고종의 생일 행사에서 데뷔 연주회를 가졌다. 프란쯔는 양악대를 운영하면서 음악 인재를 육성하려고 하였고 우리나라 전통음악의 세계화를 주장했다. 무엇보다도 우리나라 최초로 국가인 대한제국 애국가를 만들어 나라에 대한 자긍심을 갖도록 하기 위해 애썼다. 하지만 1907.. 2019. 1. 28.
초기의 서양음악 정보 유입 사례 문헌에 의하면 19세기 말 본격적으로 서양음악이 유입되기 전, 여러 경로를 통해 서양음악과의 접촉이 있었다. 일단 이론적인 혹은 문헌적인 소개를 살펴보면, 1631년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정두원(1581 ~ ?)은 음악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정보를 담은 라는 책을 가지고 들어왔다. 이 책은 이탈리아 출신의 예수회 선교사 줄리오 알레니(Gioulio Aleni, 1582 ~ 1649)가 중국 황제의 명을 받아 저술한 것이다. 홍대용(1731 ~ 1783)은 중국의 베이징을 방문한 후 가톨릭교회에 설치된 오르간에 관한 이야기를 담은 을 남겼고 박지원(1727 ~ 1805)은 서양음악에 대한 토론과 감상평을 에 담았다. 이덕무(1741 ~ 1793)는 에 단편적인 서양음악의 기초 이론을 소개했고 이규경은 오.. 2019. 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