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s/1970

For The Good Times - 레이 프라이스 Ray Price / 1970

Rainysunshine 2025. 1. 31. 12:00
반응형

For The Good Times는 US 컨트리 가수 레이 프라이스(Ray Price, 19260112 ~ 20131226)가 1970년 발표한 앨범의 타이틀곡으로 US 11위, 컨트리 1위, 캐나다 13위 등을 기록했다. 컨트리 협회 ACM '올해의 노래' 부문을 수상했고 2014년 롤링스톤 선정 '가장 슬픈 컨트리 노래 40' 중 18위를 차지했다.

 

처음 발표한 것은 1968년 빌 내쉬(Bill Nash)의 버전이고 1973년엔 페리 코모(Perry Como) 버전이 아일랜드 1위, UK 7위에 올랐다. 국내에서 아주 많은 사랑을 받았고 윤형주김세환 보고픈 사람으로, 영시스터즈그리운 그 시절로 번안해 불렀다.

 

US 싱어송라이터 크리스 크리스토퍼슨(Kris Kristofferson, 19360622 ~ 20240928)이 만들고 돈 로(Don Law)와 프랭크 존스(Frank Jones)가 프로듀서를 맡았다. 크리스는 차를 타고의 음반을 녹음하러 가던 중 내쉬빌에서 멕시코만을 지나면서 이 곡에 대한 영감을 받았다. 레이 버전의 히트를 통해 크리스는 인기 작곡가가 되어 여기저기서 러브콜을 받았다. 크리스는 다수의 인터뷰에서 "레이의 버전이 가장 인상적이었습니다. 누군가 레이가 발표했다고 말해줬죠. A면 싱글이 될 거라고 추측은 했습니다. 이 곡의 가치를 올려주었고 클래식으로 만들었죠. 특히 전달력이 탁월합니다. 청중들이 그 감정을 흡수하도록 만들죠. 물론 이 곡 만든 걸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레이의 목소리가 그걸 도와주었습니다. 작곡가로서 제 첫 히트곡이죠"와 같은 식으로 말했고 레이의 여러 인터뷰는 "이 곡을 만난 건 행운입니다. 처음 들었을 때 제게 특별한 곡이 될 거란 확신이 있었습니다. 크리스가 절 인정해줘서 고맙게 생각합니다. 인기는 청중들과의 공명하는 방식에서 나왔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노래 자체가 마법입니다"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다. 

 

가사는 이별을 앞두고 정리하는 마음을 표현한 것 같다. 화자는 기다리겠다고 하는 걸로 봐서 상대의 마음이 변한 걸 알고 가능하면 덤덤하게 떠나 보내주는 것 같다. 

 

현지운 rainysunshine@tistory.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on't look so sad, I know it's over

그렇게 슬프게 보지 마, 끝난 거 알아

But life goes on and this old world will keep on turning

하지만 삶은 계속될 거고 이 오래된 세계는 계속 바뀔 거야

Let's just be glad we had some time to spend together

우리가 함께 시간을 보냈다는 걸 기뻐하자

There's no need to watch the bridges that we're burning

우리가 태운 다리를 지켜볼 필요는 없어

 

Lay your head upon my pillow

내 베개에 머리를 누여

Hold your warm and tender body close to mine

네 따듯하고 부드러운 몸을 내게 가까이 해줘

Hear the whisper of the rain drops flowing soft against the window

창문에 부드럽게 부딪치며 흐르는 빗소리의 속삭임을 들어봐

And make believe you love me one more time

네가 한 번 더 날 사랑하는 것처럼 생각해

For the good times

좋았던 시절을 위해 

 

I'll get along, you'll find another

난 잘 지낼게, 넌 새로운 사람을 만나

And I'll be here if you should find you ever need me

나를 필요로 하는 걸 네가 알게 되었다면 난 여기 있을 게

Don't say a word about tomorrow or forever

내일이나 영원에 대해 한 마디도 하지 마

There'll be time enough for sadness when you leave me

네가 떠나고 나면 슬퍼할 시간은 충분히 있을 거야 

 

[1950s/1959] - All For The Love Of A Girl - Johnny Horton

[1960s/1967] - The Way I Feel - Gordon Lightfoot

[1960s/1967] - Release Me - Engelbert Humperdinck

[1960s/1969] - Okie From Muskogee - Merle Haggard

[1970s/1970] - Help Me Make It Through The Night - Kris Kristofferson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