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는 US 록밴드 밴 헤일런(Van Halen)이 1984년 발표한 6번째 스튜디오 앨범 <1984>에 수록한 곡으로 US 1위, 연말결산 6위, 역대결산 227위 (2018년 기준), 캐나다 1위, 아일랜드 2위, UK 7위 등을 기록했다. US 록큰롤 협회 선정 ‘록을 만든 500곡’에 포함되었다. 아즈텍 카메라(Aztec Camera)가 같은 해 어쿠스틱으로 커버했다.
멤버들이 함께 만들고 테드 템플맨(Ted Templeman)이 프로듀서를 맡았다. 기타의 귀재로 불리는 에디 밴 헤일런(Eddie Van Halen, 19550126 ~ 20201006)은 사실 기타보다 피아노를 먼저 배웠다. 그리고 10대가 되기 전까지는 클래식 작품만 연주했다. 그런 그가 이 곡의 신디 부분을 만들었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놀라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1981년 처음 만든 이 곡은 다른 멤버들에 의해 계속 거부되어 왔었다. 당시 신디사이저를 사용하는 것은 록밴드로서는 상업적인 면을 지향하겠다는 뜻으로 비춰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테드는 이 곡을 포기 하지 않고 앨범에 넣기 위해 보컬인 데이빗 리 로스(David Lee Roth)에게 알맞은 가사가 없냐고 물었다. 이에 데이빗은 차에서 이 곡을 틀고 다니며 아이디어를 찾았다. 그러던 데이빗은 어느 날 TV를 보다가 빌딩에서 뛰어내려 자살하겠다는 한 남자를 보고 군중 속의 누군가는 "어서 뛰어내려!"라고 말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고 그 관점에서 이 말을 가사로 쓰면 어떨까를 생각했다. 당시 데이빗은 로드 매니저였던 래리 홀스터(Larry Holster)에게 의견을 물었는데 래리는 좋은 생각이라고 말했다. 데이빗은 뮤지션과의 인터뷰에서 "래리 덕에 가사가 나왔어요"라고 말했다. 완성된 곡을 들어본 멤버들은 결국 이 곡을 앨범에 넣기로 합의했다.
저예산으로 만든 뮤직비디오는 MTV에서 큰 인기를 얻어 MTV VMA에서 최고 무대 공연상을 받았다. 감독은 피트 앙겔루스(Pete Angelus)가 맡았다.
이 곡과 Kiss On My List의 유사성에 대해 홀 앤 오츠(Hall & Oates)의 대릴 홀(Daryl Hall)은 믹스와의 인터뷰에서 "에디가 Kiss On My List에서 신스 부분을 따왔고 Jump에 사용했다고 말했어요. 근데 전 그렇게 레퍼런스를 따는 게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했어요"라고 말했다.
가사는 위의 내용으로 보아 힘들어 하는 상대에게 화자 자신도 최악의 상황을 이겨냈고 자기보다 더 한 사람도 많으니 너도 이겨내라고 말하는 격려와 위로의 메시지인 것 같다. 뛰어내리는 사람에게 "그 정도 밖에 안 되는 거냐. 그냥 뛰어내려라"라고 채찍질하는 것으로. 데이빗은 또 한 인터뷰에서는 "이 곡은 한 스트리퍼에 대한 노래"라고도 말했다. 그걸로 볼 때는 화자가 스트리퍼에게 자신을 어필하는 내용일 수 있다. 주크박스에 멋지게 기대어 서 있는 자신을 봐 달라며. 자신이 그렇게 최악의 고객은 아니라고. 후자의 해석으로 "jump" 부분은 자신에게 하는 말일 가능성이 크다. 기다리느니 그냥 화자가 상대에게 뛰어드는 게 낫겠다는 의미로.
현지운 rainysunshine@tistory.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I get up, and nothing gets me down
난 일어서, 그리고 아무 것도 날 주저앉게 할 순 없지
You got it tough. I've seen the toughest around
너 거칠지, 난 가장 거친 것들을 봐왔어
And I know, baby, just how you feel
알아, 베이비, 네 기분이 어떤지
You've got to roll with the punches
펀치를 날리며 굴러야 돼
To get to what's real
진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Oh, can't you see me standing here
아, 내가 여기 서 있는 게 보이지 않아?
I've got my back against the record machine
난 오디오에 등을 기대고 서 있어
I ain't the worst that you've seen
네가 본 사람들 중 내가 최악은 아니야
Oh can't you see what I mean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
Might as well jump (Jump!), might as well jump
뛰는 게 낫겠어, 뛰는 게
Go ahead, jump (Jump!), go ahead, jump
어서 뛰어
Hey you! who said that?, baby how you been?
헤이 너! 있잖아, 베이비, 잘 지냈어?
You say you don't know
넌 모르겠다고 말하지만
You won't know until we begin
우리가 시작할 때까지 넌 모를 거야
Oh, can't you see me standing here
I've got my back against the record machine
I ain't the worst that you've seen
Oh can't you see what I mean
Might as well jump (Jump!), might as well jump
Go ahead, jump (Jump!), go ahead, jump
[1980s/1980] - Kiss On My List - Hall & Oates
[1980s/1982] - Beat It - Michael Jackson
[1980s/1983] - Sister Christian - Night Ranger
[1980s/1984] - Round And Round - Ratt
[1990s/1995] - Can’t Stop Lovin’ You - Van Halen
'1980s > 198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머니와 고등어 - 김창완 / 1983 (2) | 2025.06.08 |
---|---|
친구여 - 조용필 / 1983 (1) | 2025.05.31 |
Cold Sweat - 씬 리지 Thin Lizzy / 1983 (2) | 2025.01.23 |
Sister Christian - 나이트 레인저 Night Ranger / 1983 (7) | 2024.12.05 |
Think Of Laura - Christopher Cross / 1983 (2) | 2024.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