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980s/1985

Everytime You Go Away - Paul Young / 1985

by Rainysunshine 2017. 9. 21.
반응형


Everytime You Go Away는 영국 뮤지션 폴 영(Paul Young)1985년 발표한 <The Secret Of Association>에 수록한 곡으로 미국과 캐나다 1, 아일랜드 2, 영국 4위 등을 기록했다. 1999MBC 라디오 (골든 디스크> ‘한국인이 좋아하는 팝송 200’ 196위를 차지했다. 뮤직비디오는 닉 모리스(Nick Morris)가 감독했고 브릿 어워드 최우수 비디오 부문을 수상했다. 국내에선 1993년 공연윤리위원회에서 표절판정을 내릴 정도로, 신재홍이 만들고 임재범이 부른 이 밤이 지나면과 표절시비가 있었다. 

 

이 곡은 원래 홀 앤 오츠(Hall & Oates)1980년 발표한 곡으로 대릴 홀(Daryl Hall)이 만들었다. 대릴의 여러 인터뷰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곡은 사실 가스펠적인 요소를 넣어서 만든 곡이였는데 이 완전히 팝 사운드로 바꿔서 리메이크 한 거예요그렇게 세련되게 바꿀 수 있다는 것에 정말 놀랐어요.우리의 곡을 커버한 곡들 중 최고 중 한 곡이예요. 이 곡이 크게 히트할 때까지는 다른 가수가 우리의 곡을 부를 수 있다는 생각을 전혀 못했어요.의 버전에는 에코 피아노, 플랫리스 베이스, 전기 시타 등이 사용되었고 로리 라담(Laurie Latham)이 프로듀서를 맡았다 .

 

20170921 현지운 rainysunshine@tistory.com 



Don't leave me all alone, picking up the pieces (picking up the pieces) X4

나 혼자만 남겨두지 마요, 관계를 회복하려 해봐요 (조각을 주워)

 

Hey, if we can solve any problem then why do we lose so many tears?

있잖아, 우리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데, 그런데도 왜 그토록 많은 눈물을 흘려야 해?

Oh, so you go again when the leading man appears

, 남자 주인공이 나타나면 그렇게 넌 또 떠나고

Always the same thing can't you see

항상 똑같아, 모르겠어?

We've got everything going on and on and on

우린 모든 게 계속 반복되고 있다고

 

Every time you go away you take a piece of me with you X2

네가 |떠날 때마다 넌 내 일부를 가져가는 거야

 

Go on and go free, yeah, maybe you're too close to see

가서 자유를 누려, 그래, 아마 넌 너무 가까워서 보이지 않은 걸 거야

I can feel your body move, doesn't mean that much to me

네 몸의 움직임을 느낄 수 있어, 나에게 그렇게 많은 의미는 아냐

 

I can't go on saying the same thing

똑같은 상황을 말하면서 계속 갈 수는 없어

Cause can't you see? we got everything baby, even though you know

왜냐하면 모르겠어? 우린 모든 걸 가졌어, 네가 모른다할지라도

 

Every time you go away you take a piece of me with you X2

네가 |떠날 때마다 넌 내 일부를 가져가는 거야

 

I can't go on saying the same thing

똑같은 상황을 말하면서 계속 갈 수는 없어

Cause can't you see? we got everything baby going on and on and on

왜냐하면 모르겠어? 우린의 모든 게 계속 반복되고 있어 



[1980's/1983] - Come Back And Stay - Paul Young / 1983

[1990's/1992] - What Becomes Of The Broken Hearted - Paul Young / 1992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