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930s/19373

Let's Call The Whole Thing Off - Fred Astaire & Ginger Rogers / 1937 Let's Call The Whole Thing Off는 조지 거쉰(George Gershwin, 18980926 ~ 19370711)과 조지의 형 아이라 거쉰(Ira Gershwin, 18961206 ~ 19830817)이 마크 샌드리츠(Mark Sandrich) 감독의 1937년 영화 를 위해 만든 곡이다. US 영화협회(AFI) 선정 '100년간 최고의 영화 주제가 100곡' 중 34위를 차지했다. 영화에서는 기자들을 피해 센트럴 파크로 숨어든 프레드 아스테어(Fred Astaire, 18990510 ~ 19870622)와 진저 로저스(Ginger Rogers, 19110716 ~ 19950425)가 의자에 앉아 가사 부르고 간주 부분에서는 롤러스케이트를 탄다. 대부분이 그렇듯 개인적으로도 프레드와.. 2021. 6. 19.
Sing Sing Sing - Benny Goodman & His Orchestra / 1937 Sing, Sing, Sing (With A Swing)은 루이스 프리마(Louis Prima)가 만든 곡으로 1936년 플렛처 헨더슨(Fletcher Henderson)의 편곡으로 뉴 올리언즈 갱(New Orleans Gang)에 의해 처음 발표된 곡이다. 하지만 지미 먼디(Jimmy Mundy)의 편곡과 ‘스윙의 제왕’이란 별명을 지닌 베니 굿맨(Benny Goodman, 19090530 ~ 19860613)의 지휘로 발표한 1937년 버전이 가장 많이 알려졌고 이후 재즈의 역사에 있어 빅밴드와 스윙의 시대를 상징하는 버전으로 인식되고 있다. 1966년 음악평론가 냇 샤피로(Nat Shapiro)와 냇 헨토프(Nat Hentoff)가 쓴 에서 베니는 “이 곡의 인기는 대단했어요. 아무도 이 곡 없이는.. 2021. 6. 1.
애수의 소야곡 - 남인수 / 1937 애수의 소야곡은 후에 가요의 황제로 군림하는 남인수가 1937년 오케 레코드사를 통해 발표한 곡이다. 국내에서 국민가요로 불릴 정도로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고 일본에서도 토도로키 유키코(轟由起子)가 애수의 세레나데(哀愁のセレナーデ)란 제목으로 리메이크 해 전국적인 인기를 누렸다. 곡의 장르는 트로트로 작곡가 박시춘이 만들었고 세션도 박시춘의 기타 한 대로 끝냈다. 처음에는 시에른 레코드사에서 김상화 시인의 시에 곡을 붙인 눈물의 해협이란 제목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1936년 남인수의 본명인 강문수로 발표했지만 큰 반응을 얻지는 못했다. 남인수의 실질적인 데뷔 곡이다. 박시춘은 이듬해 오케 레코드사와 계약을 맺었는데 이 곡을 다시 살리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작사가 이부풍을 섭외했다. 새로운 가사를 입은 이 .. 2017. 6.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