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현지운4661

I’ve Been Losing You – A-ha / 1986 I've Been Losing You는 아하(A-ha)가 1986년 발표한 두 번째 앨범 에 수록된 곡으로 노르웨이 1위, 아일랜드 3위, 영국 8위에 올랐다. 국내에서도 아주 많은 사랑을 받았다. 전 세계적으로는 천백만장 이상이 팔렸다고 한다. 폴 왁타(Pål Waaktaar)가 만들었고 폴과 매그네 프루홀멘(Magne Furuholmen)이 프로듀서를 맡았다. 기타 솔로는 이들의 전신인 브리지스(Bridges)의 한 곡에서 가져온 것이고 뮤직비디오는 L.A 공연장에서 촬영한 것이다. 개인적으로 이 곡은 가사의 의미 때문에 애를 많이 먹었다. 폴이 많은 독서량을 토대로 가사를 쓰기 때문에 설명해주지 않으면 추측하기도 힘들다. 대충 상황을 만들어 보면 여자가 M이란 사람을 죽였다. 여자는 남자 때문에 그.. 2017. 7. 13.
Hit The Freeway – Toni Braxton Feat. Loon / 2002 Hit The Freeway는 토니 브랙스톤(Toni Braxton)이 2002년 발표한 4번째 스튜디오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영국 29위, 캐나다 31위, 미국 86위 등을 기록했다. 곡은 퍼렐 윌리암스(Pharrell Williams)와 룬(Loon)이 만들었고 퍼렐과 채드 휴고(Chad Hugo)가 프로듀서를 맡았다. 토니는 R&B는 첫사랑이였고 이제는 새로운 면을 보여주겠다면서 힙합과의 콜라보를 시도했지만 결과적으로 시장에선 실패했다. 개인적으로는 시대를 약간 앞서간 좋은 시도였다고 생각한다. 뮤직비디오는 찰스 인판트(Charles Infante)와 데이브 마이어스(Dave Meyers)가 맡았다. 가사는 바람을 피운 애인에게 단호하게 결별을 선언하지만 시간이 좀 흐른 뒤에 아직 미련을 버리지 .. 2017. 7. 13.
On Broadway – The Drifters / 1963 On Broadway는 드리프터즈(The Drifters)가 1963년 발표해 미국 9위에 오른 곡이다. 게리 셔먼(Gary Sherman)이 편곡을 맡았고 필 스펙터(Phil Spector)가 리드 기타를 연주했다. 루디 루이스(Rudy Lewis)가 탈퇴하기 전 마지막으로 리드 보컬을 맡은 곡들 중 한 곡이다. 1978년 조지 벤슨(George Benson)이 커버해 7위에 오른 것을 비롯해 셀 수 없이 많은 가수들이 커버했다. 최초 버전은 크리스탈즈(The Crystals)가 처음으로 녹음을 했고 녹음한 것을 발표한 것은 쿠키즈(The Cookies)가 처음이다. 곡은 신시아 웨일(Cynthia Weil)과 배리 만(Barry Mann)이 만든 것으로 꿈 많은 여성의 입장에서 그렸다. 드리프터즈가 .. 2017. 7. 12.
Love Letters In The Sand - Pat Boone / 1957 Love Letters In The Sand는 팻 분(Pat Boone)이 1957년 발표한 곡으로 US 5주 1위를 차지했고 무려 34주간 차트에 머물면서 연말결산 2위를 차지했다. 아바(Abba)가 I Do, I Do, I Do, I Do, I Do에서 레퍼런스 하지 않았나 싶다. 1931년 테드 블랙 오케스트라(Ted Black Orchestra)의 연주에 진 오스틴(Gene Austin)과 리 모스(Lee Morse)가 각각 따로 녹음해 발표했다. 제이 프레드 쿠츠(J Fred Coots)와 닉 케니(Nick Kenny), 찰스 케니(Charles Kenny)가 만들었고 윌리엄 헨드릭슨(William D. Hendrix)의 The Spanish Cavalier에 영향을 받았다. 휘파람은 팻이 직접.. 2017. 7. 12.
So Happy I Could Die – Lady Gaga / 2009 So Happy I Could Die는 레이디 가가(Lady Gaga)가 2009년 발표한 에 수록된 곡이다. 미국 싱글 차트에는 오르지 않았고 영국에선 84위에 올랐다. 곡은 가가와 레드원(RedOne), 스페이스 카우보이(Space Cowboy)가 공동으로 작곡했고 프로듀서도 공동으로 맡았다. 메아리 효과를 위해 오토튠을 잔뜩 사용했다. 가사는 알콜 중독에 관한 것이다. 가가는 MTV와의 인터뷰에서 “알콜과 마약, 중독에 대한 두려움을 표현한 거예요. 하지만 알콜은 재밌어요. 매우 행복한 장소로 데려가고 모든 문제를 잊게 해 주잖아요. 그러다 잠시 행복하고 위가 뒤집히고 쓰러지죠. 그게 저와 소비와 남용의 관계예요”라고 말했고 엘르와의 인터뷰에서는 “여성을 생각하면서 하는 자위”에 관한 노래라고 말했.. 2017. 7. 11.
Forgettable – Project 46 Feat. Olivia / 2015 Forgettable은 DJ와 프로듀서인 라이언 헨더슨(Ryan Henderson)과 토마스 쇼(Thomas Shaw)로 구성된 캐나다 듀오 프로젝트 46(Project 46)이 2015년 발표한 에 수록한 곡이다. 재능이 있음에도 아직 발견되지 않은 다수의 사람들에게 보내는 송가인 듯하다. 캐나다 뮤지션 올리비아(Olivia)가 보컬로 참여했다. 20170711 현지운 rainysunshine@tistory.com To the kid in the corner trapped in the shadows of doubt passing time till it's over 귀퉁이에서 의심의 그림자에 잡혀 끝날 때까지 시간을 보내는 아이에게 Just hoping one day you'll be found 언젠가는.. 2017. 7. 11.
Rip It Up – Little Richard / 1956 Rip It Up은 리틀 리처드(Little Richard)가 1956년 발표한 곡으로 미국 17위, 영국 30위에 올랐고 미국 R&B 차트 1위에서 올랐다. 빌 헤일리 앤 더 코밋츠(Bill Haley And The Comets)가 커버해 미국 25위, 영국 4위에 올랐다. 이외에도 엘비스 프레슬리(Elvis Presley), 척 베리(Chuck Berry) 등 당대의 인기가수들이 불렀다. 곡은 로버트 블랙웰(Robert Blackwell)과 존 마라스칼코(John Marascalco)가 만들었고 로버트가 프로듀서를 맡았다. 곡은 거의 다 존이 만든 것이다. 존은 주말마다 목화밭에서 친구를 기다렸다. 교회 다니는 친구가 끝나면 같이 토끼 사냥을 다니곤 했기 때문이다. 어느 날 존은 역시 친구를 기다리다.. 2017. 7. 11.
Travellin’ Light - Cliff Richard / 1959 Travellin’ Light은 클리프 리처드(Cliff Richard)가 1959년 자신의 밴드 쉐도우스(The Shadows)와 함께 발표한 곡으로 영국 5주간 1위를 차지했고 아일랜드에서도 1위에 올랐다. 곡은 시드 테퍼(Sid Tepper)와 로이 베넷(Roy C. Bennett)이 만들었고 노리 패러모어(Norrie Paramor)가 프로듀서를 맡았다. 가벼운 짐을 들고 연인에게 달려가는 마음을 그렸다. 20170710 현지운 rainysunshine@tistory.com Got no bags and baggage to slow me down날 더디게 할 가방도 짐도 없다네I'm travellin' so fast my feet ain't touchin' the ground난 아주 빠르게 여행하지.. 2017. 7. 10.
Save Me – Aimee Mann / 1999 Save Me는 폴 토마스 앤더슨(Paul Thomas Anderson) 감독의 1999년 작품 OST 수록곡으로 미국 뮤지션 에이미 만(Aimee Mann)이 작사, 작곡한 곡이다. 영화에 인상적으로 사용되어 아카데미 주제가상 후보에 올랐으나 디즈니 애니메이션 의 주제가인 필 콜린즈(Phil Collins)의 You'll Be In My Heart에 석패했다. 또한 그래미 최우수 여성 보컬 부문 후보에도 올랐으나 메이시 그레이(Macy Gray)의 I Try에 내줬다. 뮤직비디오는 폴이 영화의 장면들과 섞어서 만들었다. 가사를 해석해보면, 과거의 상처로 인해 피를 많이 흘리는 (상징적이기도 하고 실제로 자살을 시도했을 수도 있을 거 같다) 화자에게 누군가가 생긴 것 같다. 그런데 화자는 주변에 사랑을 .. 2017. 7.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