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사/한국대중음악사

일제강점기 창작 대중음악

by Rainysunshine 2019. 4. 29.
반응형

한동안 일본의 번안 곡들만 발표하던 가수들은 1920년대 말에 이르러 드디어 창작 대중음악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1호는 김영환 작사, 작곡의 남달(낙화유수)로 인정받고 있다. 이 당시 히트한 창작곡들로는 세 동무, 목포의 눈물, 황성 옛터(황성의 적) 등이 있다. 이 당시 창작곡들의 특징으로는 3박자, 민요풍, 민중들의 애환을 담은 곡들이 많다는 것 등이 있다.

 

1930년대에 들어서는 신민요가 출연한다. 신민요는 대개 3/4박자로 세마치와 굿거리 장단을 사용한다. 아리랑, 노들강변, 능수버들, 맹꽁이타령, 아리랑랑랑, 울산타령(울산아가씨), 조선팔경가(대한팔경가), 처녀총각, 풍년가 등이 있다.

 

1930년대에는 일본 엥카의 영향을 받은 트로트 또한 창작되기 시작한다. 이 당시 히트한 트로트들로는 애수의 소야곡, 눈물 젖은 두만강, 타향살이, 짝사랑, 감격시대, 나그네 설움, 바다의 교향시, 번지 없는 주막, 불효자는 웁니다, 홍도야 울지 마라 등이 있다.

 

1940년대에 들어서는 트로트가 완전 장악한다. 이 당시 히트했던 곡들로는 선창, 찔레꽃, 대지의 항구, 목포는 항구다, 꿈꾸는 백마강 등이 있다. 또한 일제의 세계 2차 대전 참전으로 일제의 식민정책과 군국주의를 찬양하는 내용의 곡들도 다수 발표된다. 이 곡들은 일제에 의해 적극적으로 보급되었고 음악회나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부르도록 강요했다. 그 중 혈서지원 같은 곡은 해방 후 군가로 사용되기도 한다. 거기에 눈물, 사랑, 이별, 한 등을 소재로 한 노래들이나 일본의 적성국가인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의 노래들이 금지 되었다

 

20190429 현지운 rainysunshine@tistory.com



[1920's/1927] - 낙화유수(落花流水) - 이정숙 / 1927

[1930's/1932] - 황성(荒城)의 적(跡) - 이애리수 / 1932

[1930's/1932] - 세기말(世紀末)의 노래 - 이경설 / 1932

[1930's/1937] - 애수의 소야곡 - 남인수 / 1937

[1930's/1939] - 홍도야 우지마라 - 김영춘 / 1939

[1930's/1939] - 다방의 푸른 꿈 - 이난영 / 1939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