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1960s704

Penny Lane - The Beatles / 1967 Penny Lane는 비틀즈(The Beatles)가 1967년 12월 Strawberry Fields Forever와 함께 A면 싱글로 발표한 곡이다. 두 곡은 같은 해 12월에 발매된 에 수록되었다. 영국에서는 잉글버트 험퍼딩크(Engelbert Humperdinck)의 Release Me에 밀려 2위에 머물렀지만 미국에선 1주간 1위에 올랐고 터틀즈(The Turtles)의 Happy Together에게 자리를 내주었다.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500곡'에 포함되어 2004년 449위, 2010년 456위에 올랐다. 폴 매카트니(Paul McCartney)의 주도 아래 만들었다. 곡 작업은 피아노를 메인 악기로 애비 로드의 2 스튜디오에서 1966년 12월 29일 시작했다. 그다지 악.. 2019. 3. 9.
Sweet Caroline – Neil Diamond / 1969 Sweet Caroline (Good Times Never Seemed So Good)은 닐 다이아몬드(Neil Diamond)가 1969년 발표한 4번째 스튜디오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캐나다 3위, 미국 4위, 영국 8위, 아일랜드 9위, 미국 연말결산 22위 등을 기록했다. 다운로드 시장이 집계된 뒤에도 2백만 개가 팔리는 저력을 발휘했다. FEA 선정 '1960년대 최고의 노래' 1위를 차지했다. 닐이 만들고 닐, 찰스 카렐로(Charles Calello)가 편곡을, 토미 코그빌(Tommy Cogbill), 칩스 모만(Chips Moman) 등이 프로듀서를 맡았다. 'touching hands' 부분은 A6 코드를 친다. 데이빗 와일드(David Wild)는 자신의 저서에서 “닐은 이전에 A6를 .. 2019. 3. 8.
The River In The Pines – Joan Baez / 1965 The River In The Pines는 조안 바에즈(Joan Baez)가 1965년 발표한 4번째 스튜디오 앨범에 수록한 곡으로 국내에서 아주 큰 사랑을 받았고 솔밭 사이로 흐르는 강물이란 제목으로 정미조가 번안해 불렀다. 이 번안 제목의 영향인지 이정희가 1980년 솔밭 사이로란 제목의 노래를 발표했고, 남궁옥분이 1983년 “솔밭 사이로 흐르는 시냇물”이란 가사로 시작하는 서로 믿는 우리 마음이란 곡(건전가요)을 발표했다. 이 곡은 미국 민속 음악으로 미국 위스콘신 주의 치페와 (아메리카 원주민 치페와족이 살았던 곳) 지역에서 일어난 한 벌목공에 대한 사건을 다루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1800년대 초부터 벌목이 시작되었고 1836년 공격적인 정책 이후에 벌목 열풍이 불어 노동자들이 대거 유입되었.. 2019. 3. 4.
I'm Waiting For The Man - The Velvet Underground / 1967 I'm Waiting For The Man은 미국 록 밴드 벨벳 언더그라운드(The Velvet Underground, 이하 VU)가 발표한 1967년 데뷔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1971년 앤디 워홀스 벨벳 언더그라운드(Andy Warhol's Velvet Underground)란 이름으로 싱글을 발표했다. 차트에는 오르지 못했지만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500곡에 포함되어 2004년 159위, 2010년 161위를 기록했다. 이 곡은 26달러 치의 헤로인을 구입하는 것에 관한 노래다. 장소는 뉴욕 렉싱턴가와 125번가의 교차로 근처의 할렘 브라운스톤이고 시점은 한 여행자의 시선에 맞추어져 있다. 제목의 'the man'은 '마약 상인'을 가리키는 말이다. 루 리드(Lou Reed)가 시라.. 2019. 2. 28.
Heroin - The Velvet Underground / 1967 Heroin은 벨벳 언더그라운드(The Velvet Underground)가 1967년 발표한, 일명 '바나나 앨범'으로 불리는 데뷔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영미 팝계에서 비평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 록큰롤 명예의 전당이 선정한 '록을 만든 500곡'에 포함되었고 NME 선정 '최고의 1960년대 트랙' 50위,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500곡'에 포함되어 2004년 448위, 2010년 455위 등에 올랐다. 팀의 리더 루 리드(Lou Reed, 19420302 ~ 20131027)가 만들었고 미국 팝아티스트 앤디 워홀(Andy Warhol, 19280806 ~ 19870222)이 프로듀서를 맡았다. 루가 1964년 대학에 다닐 때 만들었고 어쿠스틱 한 초기 버전은 1995년.. 2019. 2. 24.
Dazed And Confused – Jack Holmes / 1967 Dazed And Confused는 미국 싱어 송 라이터 잭 홈즈(Jack Holmes)가 1967년 발표한 데뷔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이후 야드버즈(The Yardbirds)와 레드 제플린(Led Zepplin)이 리메이크 해 크게 호평을 받았다. 리처드 린클레이터(Richard Linklator) 감독이 1993년 자신의 영화제목으로 사용했다. 잭이 만들고 프로듀서도 맡았다. 잭과 팀 어윈(Tim Irwin)이 기타를, 릭 랜들(Rick Randle)이 베이스를 맡았다. 당시의 팬들은 후반부의 편곡 때문에 약물 여행에 대한 노래로 인식하곤 했지만 잭은 과거에 “관계를 끝낼지 말지 우유부단함을 보이던 한 여자에게서 영감을 얻어 만들었어요”라고 말했다. 개인적으로는 뭔가 약점을 잡힌 화자가 이대로 계속.. 2019. 2. 23.
Sloop John B - The Beach Boys / 1966 Sloop John B는 비치 보이스(The Beach Boys)가 1966년 발표한 11번째 스튜디오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You're So Good To Me를 B면으로 한 싱글이, 영국, 아일랜드, 캐나다 각각 2위, 미국 3위를 비롯해 약 9개국 싱글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다. 비치 보이스의 모든 싱글 중에서 가장 빨리 50만장 판매에 도달한 곡으로 인정받고 있다.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500곡에 포함되어 2004년 271위, 2010년 276위를 차지했다. 프로듀서는 브라이언 윌슨(Brian Wilson)이 맡았고 곡의 아이디어는 팀에서 리듬기타를 치는 알 자딘(Al Jardin)이 제공했다. 비치 보이스의 첫 버전은 브라이언이 1, 3절을 마이크 러브(Mike Love)가 2절.. 2019. 2. 12.
Good Vibrations - The Beach Boys / 1966 Good Vibrations는 비치 보이스(The Beach Boys)가 1966년 발표한 싱글로 미국, 영국, 호주 1위, 캐나다 2위, 아일랜드 3위, 미국 연말결산 33위 등을 기록했다. 이 곡의 1위 후 비치 보이스는 미국에서 22년이 지난 1988년 Kokomo로 1위에 올라 1위 사이의 기간이 가장 긴 가수 기록을 갖게 되었다.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500곡 중 6위를 차지했고 비슷한 조사를 한 여러 매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래미 최우수 보컬 퍼포먼스 후보에 올랐고 1994년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록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록을 만든 500곡’에도 포함되었다. 2005년 브로드웨이는 비치 보이스의 곡으로 만든 뮤지컬 제목을 로 했다. 브라이언 윌슨(Brian Wils.. 2019. 2. 9.
God Only Knows - The Beach Boys / 1966 God Only Knows는 미국 록 밴드 비치 보이스(The Beach Boys)가 1966년 발표한 11번째 스튜디오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영국 2위, 아일랜드 6위, 미국 39위 등을 기록했다.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500곡 중 25위, 피치포크미디어 선정 1960년대 최고의 200곡 중 1위를 차지했다. 브라이언 윌슨(Brian Wilson)이 작곡과 프로듀서를, 광고 카피라이터이자 작사가인 토니 애셔(Tony Asher)가 작사를 했다. 둘은 총 45분 만에 곡을 완성했다고 말했다. 편곡에는 프렌치 혼, 아코디온, 바이올린, 비올라 등 23명의 세션이 참여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16명의 세션들만 저작권을 받았다. 브라이언은 당시 세션들이 만들어낸 소리가 “천상의 융단 같았다”고.. 2019. 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