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1960s/196145

The Lion Sleeps Tonight – The Tokens / 1961 The Lion Sleeps Tonight은 미국 두왑 스타일의 보컬 그룹 토큰즈(The Tokens)가 1961년 발표한 곡으로 미국 1위, 영국 11위에 올랐다. 1971년 로버트 존(Robert John)의 버전이 미국 3위, 캐나다 15위에, 1982년 타잇 핏(Tight Fit)의 버전이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1위에 올랐다. 미국 시트콤 , 로저 앨러스(Roger Allers), 롭 민코프(Rob Minkoff) 감독의 1994년 애니메이션 등에 사용되었다. 이 곡은 원래 남아프리카 줄루족의 사냥 곡을 차용한 것으로 솔로몬 린다(Solomon Linda), 휴고 페레티(Hugo Peretti), 루이지 크리토(Luigi Creatore), 조지 데이빗 와이즈(George David Weiss), .. 2018. 1. 7.
Stranger On The Shore – Acker Bilk / 1961 Stranger On The Shore는 영국의 클라리넷 연주자 에이커 빌크(Acker Bilk)가 1961년 발표한 인스트루멘탈 곡으로 미국 1위, 영국 2위에 올랐다. 비틀즈(The Beatles)의 공습이 있기 전 영국 아티스트 최초의 미국 1위곡이고 1962년 연말결산 1위 곡이기도 하다. 2012년 UKOC 발표 영국 역대 판매량 순위에서 58위를 기록했다. 1969년 미국 우주선 아폴로 10호가 달에 갈 때 이 곡을 가져갔다. 에이커는 자신의 딸을 위해 이 곡을 만들었고 원래 제목도 딸의 이름을 따 “Jenny”라고 붙였다. 택시 안에서 만들었다고 한다. 이후 BBC TV 드라마 에 주제가로 사용되면서 제목도 바꾸었다. 레온 영 스트링 코랄(Leon Young String Chorale)이 편.. 2017. 12. 13.
Never On Sunday – The Chordettes / 1961 Never On Sunday는 US 걸그룹 코뎃츠(The Chordettes)가 1961년 발표한 곡으로 US 13위까지 올랐다. 돈 코스타(Don Costa)의 연주 버전이 US 19위에 올랐고 이외에도 도리스 데이(Doris Day), 코니 프란시스(Connie Francis), 앤디 윌리암스(Andy Williams) 등 아주 많은 가수들이 불렀다. 국내에서는 모니카유가 일요일은 참으세요란 제목으로 번안해 불렀다. 이 곡은 원래 그리스의 작곡가 마노스 해지다키스(Manos Hadjidakis, Μάνος Χατζιδάκις)가 작사, 작곡한 곡으로 처음 부른 가수는 쥴스 데이신(Jules Dassin) 감독의 영화 에 출연한 그리스의 멜리나 마에쿠리(Maria Amalia Mercouri, Μαρί.. 2017. 12. 10.
A Little Bitty Tear – Burl Ives / 1961 A Little Bitty Tear는 미국의 가수이자 배우인 벌 아이브스(Burl Ives)가 1961년 발표한 에 수록한 곡으로 US와 UK 각각 9위에 올랐다. 그래미 컨트리 부문 녹음, 남자 보컬 퍼포먼스 부문 후보에 올랐다. 같은 해 발표한 완다 잭슨(Wanda Jackson)의 버전은 미국 84위에 올랐다. 국내에선 전석환이 석별의 정이란 제목의 노래로 번안해 불렀고 개인적으로는 어릴 때 어떤 아이가 “날이 밝으면 멀리 떠날 사랑하는 님과 함께~”라고 부르는 것을 처음 듣고 동요라고 생각했던 기억이 있다. 곡은 미국의 컨트리 전문 작곡가 행크 코크란(Hank Cochran)이 만들었다. 행크는 1965년 빌보드와의 인터뷰에서 “일을 마치고 집에 오면서 많은 곡을 만들었는데요. 이 곡도 그 중 한.. 2017. 11. 26.
Candy Lips – Larry Finnegan / 1961 Candy Lips는 미국 팝 가수 래리 피네건(Larry Finnegan 1938~1973)이 1961년 발표한 Dear One의 B면에 수록된 곡이다. 래리가 만들고 하이 와이즈(Hy Weiss)가 프로듀서를 맡았다. 국내에서 김세환이 캔디립스란 제목으로 번안해 불렀다. 20171103 현지운 rainysunshine@tistory.com Ah oh ho, candy lips, oh, my candy lips, mmm mmm, candy lips, ah, sweet, sweet candy lips사랑 같은 입술, 내 사탕 같은 입술, 달콤한 사탕 입술She was born in a honeycomb, sweetest thing that I've ever known그녀는 벌집에서 태어났어요, 제가 아는.. 2017. 11. 3.
Mom And Dad’s Waltz – Patti Page / 1961 Mom And Dad’s Waltz는 패티 페이지(Patti Page)가 1961년 컨트리와 웨스턴 계열의 곡들을 커버해 발표한 앨범 에 수록된 곡으로 미국 58위, AC 14위, 컨트리 21위 등에 올랐다. B면의 You’ll Answer To Me도 미국 46위에 올랐다. 국내에서 황인순이 엄마와 아빠의 왈츠로 번안해 불렀다. 레프티 프레첼(Lefty Frizzel)이 만든 곡으로 레프티가 1951년 발표해 미국 컨트리 2위까지 오른 적이 있다. 20171027 현지운 rainysunshine@tistory.com I'd walk for miles, cry or smile for my mama and daddy 엄마 아빠를 위해 오랫동안 걸을 수도, 울거나 웃을 수도 있어 I want them I w.. 2017. 10. 27.
Please Mr. Postman – The Marvelettes / 1961 Please Mr. Postman은 US 걸그룹 마벌렛츠(The Marvelettes)가 1961년 발표한 곡으로 US 1위, R&B 1위에 올랐다. 2017년 빌보드 평론가들이 선정한 역사상 걸그룹 최고의 100곡 중 22위를 차지했다. 이후 마벌렛츠는 트위스트의 열풍에 가담한 후속곡 Twistin' Postman을 발표하고 이 곡의 뒷이야기를 담았다. 비틀즈(The Beatles)를 비롯한 많은 가수들이 커버했고 그 중 1975년 카펜터즈(Carpenters)의 버전이 US 1위에, 2017년엔 포르투갈 더 맨(Portugal, The Man)이 이 곡의 후렴구를 사용해 만든 Feel It Still로 US 4위에 올랐다. 곡은 조지아 도빈스(Georgia Dobbins), 윌리엄 가렛(William.. 2017. 10. 17.
Banks Of Ohio – Joan Baez / 1961 Banks Of The Ohio(혹은 Down On The Banks Of The Ohio)는 조안 바에즈(Joan Baez)가 1961년 발표한 에 수록한 곡으로 국내에서는 조영남이 내 고향 충청도로 번안해 부른 버전이 더 많이 알려져 있다. 원곡의 가사와 상관없이 아주 훌륭하게 번안된 곡이라고 생각한다. 조영남 외에도 가람과 뫼가 내 친구 지금은 이란 제목의 번안곡을 발표한 적이 있다. 조안은 화자를 남성으로 설정해서 노래를 부르고 있는데, 국내에 잘 알려진 올리비아 뉴튼 존(Olivia Newton-John)의 버전은 화자를 여성으로 설정해 부르고 있다. 올리비아의 버전은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해 호주에서 1위를 차지했고 영국 6위, 캐나다 66위, 미국 94위를 기록했다. 이 곡은 미국에서 19세기.. 2017. 10. 2.
Sad Movies (Makes Me Cry) - Sue Thompson / 1961 Sad Movies (Make Me Cry)는 US 뮤지션 수 톰슨(Sue Thompson)이 1961년 발표한 곡으로 US 5위, UK 46위 등을 기록했다. 이듬해 발표한 수의 앨범 에 수록했다. 같은해 프랑스 뮤지션 실비 바르땅(Sylvie Vartan)이 Quand Le Film Est Triste란 제목으로 불렀고 1981년 보니 엠(Boney M)이 커버했다. 국내에선 정시스터즈가 슬픈 영화로, 민해경이 슬픈 영화는 싫어요란 제목으로 번안해 불렀다. 1999년 MBC 라디오 '한국인이 좋아하는 팝송 200' 중 126위에 올랐다. 곡은 존 라우더밀크(John D. Loudermilk)가 만들었다. 존은 여자 친구와 스탠리 큐브릭(Stanley Kubrick) 감독의 영화 를 봤는데, 영화가 끝.. 2017. 9.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