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ses Arsm는 아일랜드 뮤지션 글렌 한사드(Glen Hansard)와 체코-아이슬란드 뮤지션 마르케타 이르글로바(Markéta Irglová)로 이루어진 포크록 듀오 스웰시즌(The Swell Season)이 2009년 발표한 3번째 스튜디오 앨범 <Strict Joy>에 수록한 곡으로 엔터테인먼트 선정 2000년대 '최고의 록러브송' 9위에 올랐다.
글렌이 만들고 피터 카티스(Peter Katis)와 공동으로 프로듀서를 맡았다.
가사는 사랑하는 상대를 소유하지 못해 방황을 하면서 상대의 주변에 있는 친구들과 연적을 모두 쓸어버리고 혼자 독차지 하고 싶은 욕구를 노래한 것같다. 그런 행위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대에 대한 사랑이 자신의 삶의 목적이라는 목적론적인 태생관으로 그 이유를 설명하려는 것 같다.
20240511 현지운 rainysunshine@tistory.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Use the truth as a weapon
진실을 무기로 사용해
To beat up all your friends
네 모든 친구들을 무찌르기 위해
Every chink in the armour
갑옷속 모든 갈라진 틈
An excuse to cause offence
공격유발을 위한 변명
And the boys from the hallway calling out your name
복도에서 네 이름을 부르는 소년들
And true love will find them in the end
진실한 사랑은 결국 그들을 찾을 거야
You were restless
넌 쉼 없었지
I was somewhere less secure
난 어딘가에서 불안정했어
So I went running to the road
그래서 거리로 뛰어나갔지
And so now there's a long list of places I was
그래서 지금 내가 잇던 장소의 긴 리스트가 있어
I quit my rambling and I came home
난 방황을 관두고 집으로 돌아왔어
'Cause maybe I was born to hold you in these arms
아마도 난 이 품에 널 안기 위해 태어났기 때문이겠지
Maybe I was born to hold you in these arms
Use your saints and your mantra and your things
네 성자들과 네 주문 그리고 네 물건들을 이용해
To keep you calm
널 진정시키기 위해
If you stay with that asshole
네가 그 개자식과 있는다면
He's gonna do you harm
그는 널 해칠 거야
There's a voice singing loudly on the radio just for you
널 위해 라디오에서 크게 노래하는 목소리가 있어
And good fortune will find him in the end
행운은 결국 그를 찾을 거야
Maybe I was born to hold you in these arms X4
아마 난 이 품에 널 안기 위해 태어났나봐
[2000s/2001] - Picture - Kid Rock Feat. Sheryl Crow
[2000s/2006] - Falling Slowly - Glen Hansard & Marketa Irglova
[2000s/2007] - Gone Gone Gone - Robert Plant & Alison Krauss
[2010s/2011] - The Cigarette Duet - Princess Chelsea Feat. Jonathan Bree
[2010s/2012] - Just Give Me A Reason - Pink Feat. Nate Ruess
'2000s > 2009' 카테고리의 다른 글
You Are My Girl - 김조한 / 2009 (0) | 2024.06.24 |
---|---|
그때는 몰랐던 일들 - 윤상 / 2009 (0) | 2024.05.12 |
1901 - Phoenix / 2009 (1) | 2023.11.19 |
라떼처럼 - 윤건 / 2009 (1) | 2023.04.09 |
별빛이 내린다 - 안녕바다 / 2009 (2) | 202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