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곡은 에디 플로이드(Eddie Floyd)와 스티브 크라퍼(Steve Cropper)가 만든 곡으로 원래 1966년 에디가 발표해 미국 싱글차트 28위, R&B 차트 1위에 오른 바가 있다. 둘은 테네시의 로레인 모텔에서 이 곡을 썼는데 이 곳은 마틴 루터 킹(Martin Luther King Jr.) 목사가 피살된 곳으로 지금은 국립 시민운동 박물관으로 지정되어 있다. 스티브는 작곡당시 천둥과 번개가 쳐 “It's like thunder, lightning, the way you love me is frightening”란 가사를 넣었다고 말했다.
이후에도 1967년 오티스 레딩(Otis Redding)과 칼라 토마스(Carla Thomas)가 커버해 미국 싱글 차트 30위, 데이빗 보위(David Bowie)가 1974년 커버해 영국 차트 10위에 올랐다. 하지만 가장 크게 히트한 것은 에이미의 버전이다. 베리 랭(Barry Leng)이 프로듀서를 맡은 이 디스코 버전은 이후 제이 그래이든(Jay Gradon)이 프로듀서를 맡은 맨하탄 트랜스퍼(Manhattan Transfer)의 The Boy From New York City 1981년 버전에 영감을 크게 주었다.
"knock on wood"란 말은 일종의 미신으로 자기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을까봐 “부정 타지 않도록 빌다”란 뜻을 가지고 있다. 포털 사이트 다음의 1%를 위한 상식백과에 보면 “무언가 허황된 말을 한 뒤 나무를 두드리거나 건드리는 관습은 고대 그리스와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가 북미 대륙을 발견하기 이전부터 그곳에서 독자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아주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미신이다. 나무숭배는 고대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4,000년 전부터 삼림지대에 살았던 아메리칸 원주민의 경우에는 나무 중에서도 특히 오크나무를 하늘의 신들이 번개를 타고 내려와서 살고 있는 장소라고 믿었다. 만약 누군가 앞으로 있을 전투에서 승리를 자신하며 허풍을 떨거나, 풍성한 수확에 대해 지나치게 자신만만해 하면 이런 일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들은 나무를 두드림으로써 그 안에 살고 있는 신을 달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허풍의 역효과’를 반대로 뒤집을 수 있다고 믿었다”라고 적혀있다. ‘호사다마’란 말처럼 일이 잘 되면 안 좋은 일이 생길 것에 대한 불안으로 미리 안 좋은 일이 생길 것을 예방하는 차원에 하는 행위이기도 하다. 펄 벅(Pearl S. Buck)의 소설 <대지(The Good Earth)>에서 왕룽이 자기의 자식이 너무 예뻐 일부러 욕을 하는 것과도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20160509 현지운 rainysunshine@tistory.com
당신을, 내가 가진 최고의 것을 잃고 싶지 않아
Cause if I do I will surely, surely lose a lot
근데 그렇게 바라면 분명 잃어버릴 거야
Cause your love is better than any love I know
네 사랑은 내가 아는 그 어떤 사랑보다 더 좋으니까
※ It's like thunder, lightning, the way you love me is frightening
폭풍, 번개 같아, 네 사랑은 소름 끼치게 좋아
You better knock, knock on wood, baby, ooh, baby, ooh
그러니 넌 나무를 두드리는 게 좋을 거야
Yes, I'm not superstitious about ya but I can't take no chance
난 미신을 믿지 않지만 기회를 잡을 수가 없어
I got me spinnin', baby, you know that I'm in a trance
알다시피 난 빙빙 돌아 제정신이 아니야
Cause your love is better than any love I know
네 사랑은 내가 아는 그 어떤 사랑보다 더 좋으니까
※
(You better knock, knock, knock on wood)
나무를, 나무를, 나무를 두드리는 게 좋을 거야
(Think you better knock, knock, knock on wood)
나무를 두드리는 게 좋겠다고 생각해
(Think you better knock, knock, knock)
두드리는 게 좋겠다고 생각해
Ooh, baby, ooh
It's no secret about it
비밀도 아니야
Cause with his loving touch he sees to it that I get enough
그는 사랑스런 터치로 반드시 내가 만족하도록,
Feel his touch all over, you know it means so much
온 몸을 그의 터치로 느끼게 하기 때문이지, 그게 정말 뭘 뜻하는지 알지?
2013/10/14 - [1970's/1977] - Stayin' Alive - Bee Gees / 1977
2012/01/09 - [1970's/1978] - I Will Survive - Gloria Gaynor / 1978
2013/04/11 - [1970's/1978] - Da Ya Think I'm Sexy? - Rod Stewart / 1978
2013/06/09 - [1970's/1978] - Heart of Glass - Blondie / 1978
2014/03/07 - [1970's/1979] - Hot Stuff - Donna Summer / 1979
'1970s > 1979'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uisin' - Smokey Robinson / 1979 (0) | 2016.07.07 |
---|---|
Babe - Styx / 1979 (0) | 2016.05.22 |
Broken Hearted Me - Anne Murray / 1979 (2) | 2016.04.10 |
Stand Up - Santana Feat. Alex Ligertwood / 1979 (0) | 2016.03.06 |
Heartache Tonight - Eagles / 1979 (0) | 2016.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