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940s/1940

I’ll Never Smile Again – Tommy Dorsey Feat. Frank Sinatra / 1940

by Rainysunshine 2019. 3. 17.
반응형

I'll Never Smile Again은 미국의 밴드리더 토미 도시(Tommy Dorsey, 19051119 ~ 19561126)와 그의 오케스트라가 1940년 발표한 곡으로 미국 12주간 1위를 차지했다. 빌보드가 처음으로 전국적인 소매집계를 한 이후 첫 1위곡이다. 1982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 


곡은 캐나다의 싱어 송 라이터 루스 로우(Ruth Lowe, 19140812 ~ 19810104)가 만들었고 토미의 오케스트라가 편곡, 연주를 맡았다. 프랭크 시내트라(Frank Sinatra, 19151212 ~ 19980514)가 보컬로 참여했고 보컬그룹 파이드 파이퍼스(Pied Pipers)가 백업보컬을 맡았다. 루스는 자신이 먼저 발표했으나 1년 후에 토미가 발표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오케스트라의 한 멤버였던 색소폰 연주자에게 이 곡을 건넸다. 토미는 이 곡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유명한 신인 프랭크를 기용했다. 사실상 프랭크의 첫 히트곡이다. 이 인연으로 루스프랭크1943년 곡인 Put Your Dreams Away (For Another Day)에서도 가사를 썼다. 퍼시 페이스(Percy Faith)가 연주를 맡은 루스의 버전은 루스가 사망한 후에 아들이 유품을 정리하다 발견하고 공개했다. 


루스의 가사에 관한 이야기를 인터뷰 식으로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결혼한 지 1년밖에 되지 않았을 때 남편이 죽었어요. 평범한 수술이었는데 수술을 받던 도중 사망했죠. 전 너무 충격을 받았고 토론토의 고향으로 돌아갔어요. 그리고 여동생에게 그이 없이는 다시는 웃지 않을 거라는 식으로 말했죠. 그리고 하룻밤 만에 이 노래를 완성했어요.” 이 곡은 당시 세계 2차 대전으로 지인들을 잃은 사람들에게 많은 위로를 해주었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20190917 현지운 rainysunshine@tistory.com


I'll never smile again, until I smile at you

널 보고 웃을 때까지 다신 웃지 않을 거야

I'll never laugh again, what good would it do?

다신 웃지 않겠어, 뭐가 좋다고 그러겠어

For tears would fill my eyes

눈물이 내 눈을 채울 텐데

My heart would realize that our romance is through

내 맘은 우리의 로맨스가 끝난 걸 깨달을 텐데


I'll never love again, I'm so in love with you

다신 사랑하지 않을 거야, 널 깊이 사랑하고 있어

I'll never thrill again to somebody new

다신 새로운 누군가에게 설레지 않을 거야

Within my heart, I know

맘속에서 알아


I will never start to smile again, until I smile at you

너에게 웃을 때까지 다신 웃지 않을 거란 걸

Within my heart, I know

맘속에선

I will never start to smile again, until I smile at you

다신 웃지 않을 거야, 널 보고

Until I smile at you

널 보고 웃을 때까지는 


[1950's/1951] - I'm A Fool To Want You - Frank Sinatra 

[1950's/1955] - Love And Marriage - Frank Sinatra 

[1950's/1956] - You Make Me Feel So Young - Frank Sinatra  

[1960's/1967] - Somethin' Stupid - Frank Sinatra & Nancy Sinatra 

[1960's/1969] - My Way - Frank Sinatra 


이 사이트가 도움이 되신다면

Buy me a coffeeBuy me a coffee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