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itary Man은 US 싱어 송 라이터 닐 다이아몬드(Neil Diamond)가 1966년 발표한 <The Feel Of Diamond>에 수록한 곡으로 처음 발표했을 땐 US 55위, 캐나다 56위를 기록했으나 1970년 재발매해 US 21위 캐나다 31위에 올랐다. 롤링 스톤이 2005년 닐의 곡들 중 최고로 선정했다. 아주 많은 가수들이 커버했고 핀란드 고딕 록 밴드 HIM이 커버해 2004년 UK 9위에 올랐다.
닐이 만들고 제프 배리(Jeff Barry)와 엘리 그리니치(Ellie Greenwich)가 프로듀서를 맡았다. 닐은 브릴 빌딩에서 작곡을 하던 시절부터 제프와 엘리를 알고 있었다.
닐은 2005년 타임과의 인터뷰에서 “한 프로이드 주의자가 이 곡이 제 얘기란 걸 밝혀줬어요”라고 말했고 2008년 모조와의 인터뷰에서는 “이 곡은 제가 수준을 올리려고 노력했던 첫 곡이예요. 비틀즈(The Beatles)의 단조곡인 Michelle에 영향을 받았죠. 근데 처음에는 단조로 만든 지도 몰랐어요. 제 작곡의 물고를 튼 곡이예요”라고 말했다.
화자는 바람을 피운 두 여자를 연속으로 사귄 경험을 말하며 자신을 외로운 남자로 표현하고 있다.
20180321 현지운 rainysunshine@tistory.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linda was mine
멜린다는 내 여자였어
'Til the time that I found her holding Jim, loving him
그녀가 짐을 사랑하고 안고 있는 걸 발견하기 전까진
Then Sue came along, loved me strong
그리고 수가 와서 날 강하게 사랑했지
That's what I thought me and Sue, but that died too
나와 수만 생각했건만 그것도 역시 죽었어
Don't know that I will
내가 그럴진 모르겠어
But until I can find me the girl who'll stay and won't play games behind me
갖고 놀지 않고 머물러 줄 여자를 찾을 때까지
I'll be what I am a solitary man, solitary man
난 나일 거야, 외로운 남자
I've had it to here bein' where love's a small word, part-time thing, paper ring
사랑은 작은 말, 짧은 만남, 종이 반지인 이곳에 있어야 해
I know it's been done havin' one girl who'll love me
알아 날 사랑해줄 한 여자만 있으면 끝난다는 거
Right or wrong, weak or strong
옳건 그르건, 약하건 강하건 간에
[1960s/1967] - Girl, You'll Be A Woman Soon - Neil Diamond
[1960s/1969] - Sweet Caroline - Neil Diamond
[1970s/1972] - Song Sung Blue - Neil Diamond
[1970s/1979] - September Morn - Neil Diamond
후원을 하시려면
'1960s > 1966'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 A Believer – The Monkees / 1966 (2) | 2018.08.13 |
---|---|
Distant Drums – Jim Reeves / 1966 (0) | 2018.05.12 |
Friday On My Mind – The Easybeats / 1966 (0) | 2018.03.09 |
Monday, Monday – The Mamas & The Papas / 1966 (0) | 2018.03.05 |
With A Girl Like You – The Troggs / 1966 (0) | 2018.03.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