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980s/198679

Everybody Have Fun Tonight - Wang Chung / 1986 Everybody Have Fun Tonight은 UK 뉴웨이브 듀오 왕청(Wang Chung)이 1986년 발표한 4번째 스튜디오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캐나다 1위, US 2위, 연말결산 12위, UK 76위 등을 기록했다. US에선 뱅글스(Bangles)의 Walk Like An Egyptian에 막혀 1위에 오르지 못했다. 팀의 두 멤버인 닉 펠드만(Nick Feldman)과 잭 휴즈(Jack Hues), 그리고 프로듀서를 맡은 피터 울프(Peter Wolf)가 만들었다. 뮤직비디오는 고들리 & 크레메(Godley & Creme)이 감독을 맡았다. 피터 가브리엘(Peter Gabriel)의 Sledgehammer처럼 스톱 프레임을 사용했는데, BBC에서는 출처를 알 수 없는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2020. 3. 11.
Touch Me - Samantha Fox / 1986 Touch Me는 사만다 폭스(Samantha Fox)가 1986년 발표한 데뷔 앨범의 타이틀곡으로 캐나다 7주간 1위, 스웨덴 8주간 1위, UK, 아일랜드 3위, US 4위, 연말결산 44위 등을 기록했다. 존 애스트롭(Jon Astrop), 마크 슈리브(Mark Shreeve), 피트 해리스(Pete Q Harris) 등이 만들고 존과 피트가 프로듀서를 맡았다. 가사는 화자가 밤에 놀러 클럽에 갔다가 말이 잘 통하는 것 같은 상대를 만났지만 결국 이뤄지지 못하고 자신과 있자고 애원한다는 내용이다. 섹스를 갈구하는 노래인 것 같다. 20200305 현지운 rainysunshine@tistory.com Ah, touch me, touch me, this is the night날 만져줘, 오늘이 그 밤이.. 2020. 3. 5.
Land Of Confusion - Genesis / 1986 Land Of Confusion은 제네시스(Genesis)가 1986년 발표한 13번째 스튜디오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US 4위, 캐나다 8위, 아일랜드 9위, UK 14위, US 연말결산 40위 등을 기록했다. 하드록 그룹 디스터브드(Disturbed)가 2006년 커버해 호평을 받았고 메리 해론(Mary Harron) 감독의 2000년 영화 에서 패트릭 베이트먼(Patrick Bateman)이 "논쟁의 여지가 없는 걸작"이라고 말한다. 개인적으로 블랙 아이드 피스(Black Eyed Peas)의 Where Is The Love?에 영향을 준 곡이라고 생각한다. 필 콜린즈(Phil Collins) 등 멤버들이 함께 만들었고 가사는 기타를 맡고 있는 마이크 러더포드(Mike Ruther Ford)가 주.. 2020. 2. 17.
Don't Dream It's Over - Crowded House / 1986 Don't Dream It's Over는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 뮤지션으로 구성된 그룹 크라우디드 하우스(Crowded House)가 1986년 발표한 셀프타이틀 앨범에 수록한 곡으로 캐나다, 뉴질랜드 1위, US 2위, 아일랜드 19위, UK 27위, US 연말결산 13위 등을 기록했다. 2001년 오스트레일리아의 APRA에서 선정한 역대 최고의 곡에 뉴질랜드 2위, 호주 7위, 2018년 트리플M 선정 '역대 최고의 오스트레일리아 노래' 65위 등을 차지했다. 폴 영(Paul Young)이 1991년 커버해 UK 20위, 식스 펜스 넌 더 리처(Six Pence None The Richer)가 2003년 비슷한 분위기로 리메이크해서 US 78위를 기록했다. 팀에서 보컬을 맡고 있는 닐 핀(Neil .. 2020. 1. 22.
Dreamtime - Daryl Hall / 1986 Dreamtime은 홀 앤 오츠(Hall & Oates) 출신의 보컬 대릴 홀(Daryl Hall)이 1986년 발표한 2번째 스튜디오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US 5위, UK 28위 등을 기록했다. 대릴과 존 비비(John Beeby)가 만들고 대릴과 유리드믹스(Eurythmics)의 데이브 스튜어트(David A. Stewart), 톰 복(Tom "T-Bone" Wolk)이 프로듀서를 맡았다. 데이브가 기타 솔로를, 톰이 베이스를 연주했고 드림 아카데미(Dream Academy)의 케이트 세인트 존(Kate St. John)이 백업 보컬로 참여했다. 후반부의 현악 편곡은 마이클 카멘(Michael Kamen)이 지휘를 잡았다. 대릴은 데이브와의 작업에 대해 “제가 내는 매 앨범들은 함께 작업하는 사람.. 2019. 12. 26.
Take Me Home Tonight - Eddie Money / 1986 Take Me Home Tonight은 미국 록 뮤지션 에디 머니(Eddie Money, 19490321 ~ 20190913)가 1986년 발표한 6번째 스튜디오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미국 4위, 캐나다 15위 등을 기록했다. 1987년 그래미 록 보컬 퍼포먼스 부문 후보에 올랐으나 로버트 파머(Robert Palmer)의 Addicted To Love가 받았다. 마이크 리슨(Mike Leeson)과 피터 베일(Peter Vale)이 만들고 에디와 리치 지토(Richie Zito), 제이콥 둘리(Jacob Dooley)가 프로듀서를 맡았다. 중간에 로넷츠(Ronettes)의 Be My Baby를 사용해 이 곡의 작곡가들인 제프 배리(Jeff Barry)와 엘리 그리니치(Ellie Greenwich), .. 2019. 12. 11.
Only Love Knows Why - Peter Cetera / 1986 Only Love Knows Why는 피터 세트라(Peter Cetera)가 1986년 발표한 두 번째 솔로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미국 AC 24위를 기록했다. 피터와 조지 빗처(George Bitzer), 마이클 오마션(Michael Omartian) 등이 만들고 마이클이 프로듀서를 맡았다. 가사는 사랑하고 있는 사람이 떠나는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만남과 헤어짐을 반복한 관계인 것 같고 “doubt”으로 인한 어떤 일 때문에 상대가 떠난 것 같다. 20191123 현지운 rainysunshine@tistory.com One more sad tomorrow한 번 더 슬픈 내일And I am not very good at hiding my sorrow난 슬픔을 감추는 데 소질이 없어It's not th.. 2019. 11. 23.
Walk This Way - Run-D.M.C. / 1986 1986년, 미국 힙합 그룹 런-디엠씨(Run–D.M.C.)는 에어로스미스(Aerosmith)의 스티븐 타일러(Steven Tyler)와 조 페리(Joe Perry)를 대동하고 이들의 Walk This Way를 리메이크 했다. 미국 싱글 차트에선 에어로스미스의 원래 버전보다 더 높은, 4위까지 올라가는 인기를 누렸고 영국에서도 랩이 처음으로 10위권에 진입한 사건을 만들어 냈다. 앨범 은 미국에서만 3백만 장 이상이 나갔다. 이 버전은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500곡'에 포함되어 2004년 287위, 2010년 293위를 차지했다. 앨범 작업을 하면서 릭 루빈(Rick Rubin)은 비트를 찾다가 우연히 발견한 에로스미스의 앨범 을 가져와 에어로스미스를 설명하고 이 곡의 리메이크를 제안했다.. 2019. 11. 4.
Bizarre Love Triangle - New Order / 1986 Bizarre Love Triangle은 영국 뉴 웨이브 밴드 뉴 오더(New Order)가 1986년 발표한 4번째 스튜디오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호주 1위, 영국 56위, 미국 댄스 5위 등을 기록했다. 미국에서는 1994년 발매된 리믹스 버전이 이듬해 98위에 올랐고 같은 해 호주 밴드 프렌테(Frente!)가 리메이크해서 49위에 올랐다.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500곡'에 포함되어 2004년 201위, 2010년 204위를 차지했다. 이 곡의 도입부는 김완선의 리듬속의 그 춤을 인트로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버나드 섬너(Bernard Sumner) 등 멤버들이 함께 만들고 프로듀서도 공동으로 맡았다. 베이스의 피터 훅(Peter Hook)은 송팩츠와의 인터뷰에서 "이 곡은 .. 2019. 10.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