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승환15

텅 빈 마음 - 이승환 / 1989 텅 빈 마음은 대한민국 싱어송라이터 이승환이 1989년 발표한 데뷔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국내에서 라디오를 중심으로 아주 크게 히트했다. 멜론(뮤직박스) 4주간 1위, 연말결산 13위 등을 기록했다.   이승환은 당시 프로듀서가 없이 자신과 엔지니어 둘이 만든 음반이라고 밝혀 이승환이 실질적으로 제작뿐 아니라 프로듀서의 역할까지 했다고 봐야할 것 같다. 앨범에는 프로듀서로 윤태영이란 이름이 올라있다. 이 곡이 타이틀곡이 된 것에 대해 이승환은 M.net 봄여름가을겨울의 숲>에 출연해 "제 생각엔 당시 가장 세련된 곡이라고 생각 했어요"라고 말했다. 이승환 20주년 기념음반 에서 윈터 플레이(Winterplay)가 리메이크 했다. 곡은 한양대 작곡가 출신으로 알려진 류화지가 만들었다. 류화지에게 곡을 받.. 2024. 8. 26.
물어본다 - 이승환 / 2004 물어본다는 대한민국 뮤지션 이승환이 2004년 발표한 8번째 스튜디오 앨범 에 수록한 곡이다. 앨범의 홍보곡이 심장병이라 차트에 오르진 않았으나 팬들에겐 스테디셀러로 사랑받고 있다. 정세운, 박시환, 리플렉스, 정승환, 양요섭 등 다수의 가수들이 커버했다. 이승환이 작사, 프로듀서를 맡았고 이승환이 1집을 제작했던 정지찬(Hue)이 작곡했다. 이승환은 MBC 에서 "제작자인 절 원망하던 지찬씨가 인도에 갔다오더니 모든 원망이 눈녹듯 사라졌다며 선물로 이 곡을 주겠다고 말했어요"라고 말했고 정지찬은 "저는 선물이라고 그냥 살짝 던졌을 뿐인데, 바로 받으시더라고요"라고 말했다. M.net 2022. 12. 11.
길가에 버려지다 - 이승환, 이효리, 전인권 / 2016 길가에 버려지다는 대한민국 뮤지션 이승환, 이효리, 전인권이 2016년 11월 11일 낮 12시에 무료 배포한 곡이다. 이규호가 작사, 작곡 한 곡으로 같은 해 11월 18일에는 100여 명의 뮤지션이 참여한 버전이 배포되었다. 한때 몽키3가 유료로 음원을 배포 해 이승환의 지적을 받았고 몽키3은 시스템 상의 문제였다면서 정식으로 사과했다. 이 곡의 발표에 앞서 이승환은 페이스북에 "드림팩토리는 고퀄이 아니면 취급하지 않습니다. 무료 배포라고 해서 대충 만들지 않습니다. 뮤지션들과 녹음 스튜디오들은 전부 무보수로 참여해 주시고 계십니다"라고 올렸다. 곡이 발표된 날 이규호가 tbs 라디오 와의 인터뷰에서 한 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곡을 만든 지는 한 달 정도 됐고요. 그 전까지는 세상이 어떻게 돌.. 2022. 10. 31.
내게 - 이승환 / 1993 내게는 대한민국 뮤지션 이승환이 1993년 발표한 3번째 스튜디오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멜론(뮤직박스) 주간 2위, 1993년 연말결산 47위, 1994년 연말결산 22위 등을 기록했다. 당시 공일오비의 신인류의 사랑에 막혀 1위에 오르지 못했다. 김광진이 만들고 김현철이 편곡과 키보드를, 기타에 손진태, 베이스에 장기호, 드럼에 배수연, 퍼커션에 박용영 등이 연주를 맡았고 박용준, 김광진, 김혁경 등이 BG 보컬로 참여했다. 원제목은 '당신의 생일을 축하합니다'였다. 김광진은 이 곡의 창작 과정에 대해 장문경의 저서 에서 "(후에 결혼한) 여자친구와 헤어지고 나서는 밥도 먹기 싫고 혼자 끙끙대면서 앓아 누울 정도로 아팠는데, 붙잡을 엄두도 못냈던 것 같아요. 그러니 노래나 만들어야죠, 뭐. 그래서 그.. 2021. 12. 12.
기다린 날도 지워질 날도 - 이승환 / 1989 기다린 날도 지워진 날도는 이승환이 1989년 발표한 데뷔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멜론(뮤직박스) 주간 3위, 1990년 연말결산 100위, 1991년 연말결산 24위 등을 기록했다. 오태호가 작사, 작곡하고 이승환이 프로듀서를 맡았다. 이승환은 여러 매체에서 1집 당시 프로듀서와 디렉터 없이 엔지니어와 둘이 옥신각신하면서 만들어서 이 때의 목소리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승환은 M.net 에서 "오태호씨에게 붕장어 6천원, 술 두 병 4천원, 도합 만원어치 사주고 받은 곡이예요. 그렇게 오태호씨가 많이 도와줬어요"라고 말했고 오태호는 CBS 를 비롯한 다수의 매체에서 "이 곡은 당시 헤비메탈 밴드들이 모여 만든 옴니버스 앨범 에 넣을 곡이었어요. 2~3일 뒤면 녹음에 들어가는데, 이승환씨가.. 2021. 9. 28.
반의 반 - 이승환 / 2010 반의 반은 이승환이 2010년 발표한 10번째 스튜디오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멜론 주간 74위를 기록했다. 이승환이 작사하고 정지찬이 작곡과 편곡을 맡았다. 마이클 잭슨(Michael Jackson)의 앨범 와 를 믹싱한 엔지니어 움베르토 가티카(Humberto Gatica)가 믹싱을 맡아 화제가 되었다. 이 곡이 타이틀곡이 된 것에 대해 이승환은 다수의 매체에서 "이 곡 말고는 거의 록이예요. 저는 록을 타이틀곡으로 하고 싶었지만, 모니터 결과 이 곡에 대한 주위의 반응이 좋아, 사실 제 스타일의 발라드죠. 이 부분만은 주변의 뜻을 따르기로 했어요"라고 말했다. 이후 팬들과의 모니터를 통해 완벽한 추억으로 타이틀곡을 바꾸었다. 이승환은 KBS FM 에 출연해 "US에 녹음하러 가기 전까지 발라드라 부.. 2021. 7. 20.
함께 있는 우리를 보고 싶다 - 이승환 / 2014 함께 있는 우리를 보고 싶다는 이승환이 2014년 발표한 11번째 스튜디오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도종환 작사, 이승환, 황성제 작곡, 황성제, 데이빗 데이비슨(David Davison)이 편곡을 맡았다. 평화의 나무 합창단이 참여했다. 당시 3개월 정도의 수익 천만 원가량을 한국백혈병어린이재단에 기부했다. 도종환 시인이 작사가로 참여한 것에 대해 이승환은 앨범 감담회에서 "제가 잘 쓰는 가사는 실연당한 남자의 이야기나 유머러스하고 아기자기한 가사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뭔가 깊이 있고, 인생을 이야기하는 가사는 누군가에게 맡겨야겠다고 생각했죠. 봉하 음악회에서 도종환 시인을 뵌 적이 있어서 부탁을 드렸어요. 지금까지 본인의 시에 멜로디를 붙인 적은 있어도 멜로디에 가사를 붙인 적은 처음이라고 하셨어요... 2021. 5. 23.
마법의 성 - 더 클래식 Feat. 백동우 / 1994 마법의 성은 주로 보컬을 담당하는 김광진과 편곡을 맡고 있는 박용준이 결성한 그룹 더 클래식(The Classic)이 1994년 발표한 셀프타이틀 첫 번째 앨범에 수록한 곡으로 멜론 6주간 1위, 1994년 연말결산 12위, 1995년 연말결산 63위 등을 기록했다. 김광진은 YTN 라디오에 출연해 "TV에서 1위는 못하고 2위를 한적은 있어요. 판매 차트로는 6주정도 1위 했지만 TV 음악프로그램에서 1위는 못했어요"라고 말했다. 지학사 중3, 박영사와 현대음악 고1 음악교과서 등에 수록되었다. 올스타, 김광진, 키즈 등 3가지 버전 중 변성기 전의 백동우가 보컬을 맡은 키드 버전이 그 해 말 엄청나게 큰 사랑을 받았다. 김광진은 SBS FM 에 나와 "우리가 TV에 나오면서 부터 판매량이 급감했어요".. 2021. 4. 25.
어떻게 사랑이 그래요 - 이승환 / 2006 어떻게 사랑이 그래요는 이승환이 2006년 11월 발표한 9번째 스튜디오 앨범 에 수록한 곡으로 멜론 주간 14위를 기록했다. 2014년 10월 25일 방송된 JTBC 이후 64위로 재진입 했고 공중파 순위 프로그램에도 올랐다. 2014년 11월 22일 JTBC C조 결승에서 이승환 모창자 김영관이 이 곡으로 1위를 차지해 생방송에 진출했다. 이외에도 솔지, 케이윌, 차지연, 박재정 등이 커버 했다. 이승환이 작사, 작곡, 편곡을, 황성제가 작곡에 함께 참여했다. 2006년 5월 3일 방송된 MBC 휴먼 다큐멘터리 을 보고 만들었다. 이승환은 2006년 11월 일간스포츠와의 인터뷰에서 “그 프로그램을 보고 감동 받아 5분 만에 만들었어요. 그들의 모습을 보면서 지금까지 내가 해 온 어리석고 부족한 사랑에.. 2021. 2. 17.
천일동안 - 이승환 / 1995 천일동안은 이승환이 1995년 발표한, 우리나라 가수들의 음반을 레코딩 및 사운드 면에서 한 단계 도약시킨 음반으로 평가받는 에 수록한 곡으로 멜론(뮤직박스) 주간 2위, 연말결산 25위, KBS 3위 등을 기록했다. 작곡은 김동률이 , 작사는 이승환이, 편곡은 데이비드 캠벨(David Campbell)이 했다. 김동률은 다수의 저자가 참여한 에서 이 곡에 대한 평가를 묻자 “그렇게 잘 나올 거라 기대하진 않았어요. 곡 진행은 데모대로 간 것 같은데 개인적으론 간주에 내 의도와 다른 부분이 좀 아쉬웠어요. 나머지는 내가 만든 진행대로 갔고 화려하게 편곡해 달라고 했지만 설마 그렇게까지 나올 줄 몰랐어요. 충격이었어요”라고 말했다. 이 곡을 김동률에게 받게 된 것과 가사를 쓴 것에 대해 이승환은 같은 책에.. 2019. 12. 13.
하숙생 – 최희준 / 1964 하숙생은 한국의 냇 킹 콜(Nat King Cole)이란 별명을 가진 최희준(1935~2018)이 1964년 발표한 곡으로 주제가로 사용된 드라마의 인기와 더불어 아주 큰 인기를 누렸고 그로인해 1966년 정진우 감독, 신성일, 김지미 주연의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드라마를 쓴 김석야가 작사하고 김호길이 작곡했다. 이승환이 1991년 발표한 에서 커버했다. 이 곡은 김석야 작가가 쓴 같은 제목의 KBS 라디오 드라마 주제곡이다. 드라마는 화학공학을 전공하는 대학생과 미스코리아를 지망생의 사랑을 소재로 불이 난 대학에서 애인을 구했지만 화상을 입은 남자와 결국엔 그 남자를 버리고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여자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동아일보의 ‘가요 100년 그 노래 그 사연’에 의하면 김석야는 작품 구상을 .. 2018. 8. 28.
이승환 디스코그라피 1989 - 2001 B.C 603 (1989) 나미, 소방차 등의 댄스 음악 계열이 많은 사랑을 얻기도 했지만 전적으로 발라드의 한 세대를 책임졌던 1980년대 말에 등장해 발라드 가수의 계보를 잇는 듯했던 이승환의 데뷔 음반이다. 엄청나게 큰 사랑을 받는 가수가 되지만 시작은 그렇게 쉽지 않았다. 대학을 팽개치고 딴따라의 길에 들어섰지만 주 록음악에 심취한 이 청년을 아무도 도와주지 않았다. 10여 군데의 소속사를 전전하며 오디션을 봤지만 퇴짜를 맞아야 했고 서울음반을 만나서야 데뷔 앨범을 발표할 수 있었다. 반 이상의 곡을 자신의 곡으로 채우며 본인의 색깔을 내세웠지만 류지화의 텅빈 마음과 오태호의 기다린 날도 지워질 날도가 높은 인기를 얻었으며 그를 발라드계의 새로운 왕자로 부추겼다. 그러나 라디오가 주요한 매체로 각.. 2016. 12. 4.
이승환 - 나만의 베스트 / 2012 난 그를 조금은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어떤 면에서’라는 단서가 붙어야 한다. 사람과 친해지기 쉽지 않은 내성적인 성격, 집이 제일 좋은 이유, 꿈은 록커지만 발라드의 어린 왕자로 살아야 했던 시간들, ‘귀신 소동’으로 은퇴까지 생각했던 힘겨웠던 나날, 그리고 안경 벗은 모습을 절대 안 보여주는 의도와 그 저주받은 동안까지(푸하하). 그의 음악을 많이 들었기 때문이라고 해두자. 여기 공개될 리스트는 그의 정규 10(+1)장에서만 꼽겠다. 그를 처음 알게 된 것은 어느 여자 후배가 “오빠 이승환 잘 생기지 않았어요? 노래도 엄청 좋아요”라며 들고 와 보여준 카세트테이프 때문이었다. 고개 숙인 모습이 지극히 평범해 보였지만 남의 외모에 별 관심을 두고 있지 않던 터라 그러려니 했다. 그런데 얼마.. 2015. 10. 31.
더뮤직 인터뷰 - 이승환 20131001 이 표현은 웹진 이즘에서 이승환의 바이오그라피를 쓰다가 마지막에 맺음말로 사용한 것이다. 그나저나 쳇, 나의 성을 바꾸다니... 내가 아는 작가가 아니길... 2016/12/04 - [대한민국] - 이승환 디스코그라피 1989 - 20012015/10/31 - [한 여운] - 이승환 - 나만의 베스트 / 20122017/08/10 - [1980's/1989] - 텅 빈 마음 – 이승환 / 19892014/10/27 - [1990's/1995] - 천일동안 - 이승환 / 19952015/02/23 - [2000's/2006] - 어떻게 사랑이 그래요 - 이승환 / 2006 2014. 10. 27.
26년 - 조근현 / 20121124 영화 투자자 시사회 신촌 아트레온 6관 20121124 영화를 만든 모든 사람들에게 박수를... 용기있는 결말에 또 한 번 박수를... 진구 연기 참 잘한다. 연기상 하나 받았음 한다. 사진이 잘 안나와서 안타깝지만 그래도 행복했던 시간 http://music.daum.net/musicbar/musicbar/detail?menu_id=5&board_id=3046 26년 (2012) 7.5 감독 조근현 출연 진구, 한혜진, 임슬옹, 배수빈, 이경영 정보 드라마 | 한국 | 135 분 | 2012-11-29 2012. 11. 25.
반응형